- 개인의 지능, 사회성, 대인관계능력, 정서, 성격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알아보기 위한 검사
- 지적능력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알아보기 위한 검사(현재의 기능상태, 잠재능력, 인지활동 등)
- 아이의 연령에 맞게 적절한 발달을 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검사(언어, 운동, 인지, 지능, 사회성, 감각 발달 등)
- 타고난 성향, 개인의 흥미, 적성 등 선호하는 성격 유형을 파악하여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돕기 위한 검사
- 일반적인 성격, 비정상성 혹은 징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검사
-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, 양육태도 등을 점검 및 개선을 위한 검사
- 전반적인 부모의 양육방식 및 태도를 점검하여 자녀와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통해 원활한 의소통을 돕는 검사
- 학습 방식 및 효율성, 학습의 취약성, 학습장애 등 학습수행에 필요한 동기 및 정서 특성과 같은 학습의 전반적인 것을 알아보는 검사
쳬계적인 심리검사를 통해 객관적이고,
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여
적절한 상담 및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